본 포스팅은 김영한 님의 스프링 입문강의 섹션 1를 듣고 요약한 내용입니다.
[무료] 스프링 입문 -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, 웹 MVC, DB 접근 기술 - 인프런 | 강의
스프링 입문자가 예제를 만들어가면서 스프링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전반을 빠르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., - 강의 소개 | 인프런...
www.inflearn.com
프로젝트 생성
스프링 부트 스타터 사이트에서 스프링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.
제가 선택한 option은 이렇습니다. (자바 11버전 사용중)
- Project : Gradle - Groovy
- Language : Java
- Spring Boot : 2.7.7
- Group : hello (기업의 도메인, 이름을 작성하는 곳)
- Artifact : hello-spring (프로젝트가 빌드되어 나오는 결과물 명)
- Packaging : Jar
- Dependencies : Spring Web, Thymeleaf
참고로, java 11버전은 Spring Boot 2.x.x 버전을 사용해야 합니다. (3.0.1 적용했다가 오류 났습니다..)
sourceCompatibility : 자바 버전 설정
repositories의 mavenCentral() : dependencies를 mavenCentral에서 다운로드 받아라는 의미입니다.
gradle은 버전을 설정하고, 라이브러리를 가져오는 역할을 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8lSYE/btrWdeP3G6K/Df3u8ySKkb3ZKkncKw65h1/img.png)
main 안의 SpringApplication.run() 을 실행하면 tomcat이라는 웹서버를 내장해서 자체적으로 띄우면서 스프링 부트가 올라옵니다.
빌드 내용 추가 예정